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록시3

6장 AOP - 1 6.1 트랜잭션 코드의 분리6.1.1 메소드 분리public void upgradeLevels() throws Exception { TransactionStatus status = this.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Definition()); try { List users = userDao.getAll(); for (User user : users) { if (canUpgradeLevel(user)) { upgradeLevel(user); } } this.transactionManager.commit(sta.. 2025. 4. 19.
7장 캐시 7.1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캐시를 이용하면 서버 응답은 캐시에 보관된다.캐시된 사본이 뒤이은 요청들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되어서 트래픽을 주고받는 낭비가 줄어든다.7.2 대역폭 병목클라이언트가 빠른 LAN에 있는 캐시로부터 사본을 가져온다면, 캐싱은 성능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7.3 갑작스런 요청 쇄도(Flash Crowds)갑작스런 요청 쇄도에 대처하기 좋다.7.4 거리로 인한 지연네트워크 라우터는 제각각 인터넷 트래픽을 지연시킨다.캐시를 근처에 설치해서 문서가 전송되는 거리를 수천 킬로에서 수십 미터로 줄일 수 있다.7.5 적중과 부적중cache hit: 캐시에 요청이 도착했을 때, 그에 대응하는 사본이 있는 경우cache miss: 대응하는 사본이 없을 경우, 이 떄는 원서버에 요청을 한다.7.5... 2025. 2. 14.
6장 프락시 6.1 웹 중개자웹 프락시 서버는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중개인이다.HTTP 프락시 서버는 웹 서버이기도 하고 웹 클라이언트이기도 하다.6.1.1 개인 프락시와 공유 프락시공유 프락시대부분의 프락시는 공유된 프락시이다.중앙 집중형 프락시를 관리하는 게 더 비용효율이 높고 쉽다개인 프락시흔하진 않지만 꾸준히 사용된다.브라우저 기능을 확장하거나 성능 개선하거나 등 컴퓨터에서 직접 실행한다.6.1.2 프락시 대 게이트웨이프락시는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한다.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둘 이상을 연결한다.6.2 왜 프락시를 사용하는가?프락시는 보안을 개선하고, 성능을 높여주며, 비용을 절약한다.어린이 필터부적절한 사이트의 접근을 강제로 거부할 수 있.. 2025. 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