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it rebase1 Git Rebase 이해하기 포크한 저장소를 최신 원본과 동기화시키기 위해 rebas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REBASE 과정 및 원리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 상황 순서에 맞게 번호를 붙였습니다. 1. 원본 저장소 fork 우리가 원본 저장소의 코드를 내 원격 저장소로 fork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상황입니다. 2. 내 원격 저장소 clone 그리고 이렇게 fork 한 내 원격 저장소를 로컬로 clone 하여 가지고 오면 아래와 같은 상황이 됩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원본 저장소에서부터 가져온 커밋들을 base라고 부릅니다. 원본 저장소와 포크를 받아온 나의 원격저장소, 그리고 클론을 받은 로컬에는 모두 같은 해시값의 커밋들로 이루어집니다. git은 base가 교체되지 않는 한, base가 같은 저장소에만 push를 할 수 있습니.. 2022. 3. 26. 이전 1 다음 반응형